USDG 크라켄, 로빈후드, 갤럭시 디지털 OKY 참여한 이유

1. USDG에 크라켄, 로빈후드 참여 이유
크라켄, 로빈후드 입장에서는 규제에 민감한 고객(기관투자자·글로벌 사용자) 들에게 안전한 스테이블코인 옵션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.
👉 전략적 이유 1
규제 안정성이 확보된 스테이블코인을 거래소/플랫폼에 추가해 글로벌 시장에서 신뢰 강화.
2. USDG vs USDT vs USDC 규제 특징
- USDT(테더) 는 시가총액 세계 1위 스테이블코인이지만, 준비금 투명성과 규제 이슈가 끊임없이 제기됨.
- USDC(서클) 는 상대적으로 투명하지만, 미국 내 규제 불확실성(SEC, CFTC 등) 때문에 성장세가 주춤.
- 반면 USDG는 싱가포르 MAS와 유럽 MiCA 규제를 준수하며, “합법적·안정적”이라는 이미지를 확보.
3. 결제·송금 네트워크 확장
- 글로벌 송금 및 결제 시장에서 “달러의 디지털 버전” 은 필수.
- USDT나 USDC는 주로 암호화폐 거래소 안에서 사용되지만, USDG는 Global Dollar Network(GDN) 를 통해 결제·핀테크·송금까지 확장하려는 목표가 있음.
- 로빈후드나 크라켄은 단순히 “거래 플랫폼”을 넘어 글로벌 결제/송금 인프라로 성장하려 하고 있음.
👉 전략적 이유 2
USDG를 통해 거래소를 ‘글로벌 결제 네트워크’로 확장 → 송금·커머스 시장까지 진출 가능.
4. 수익 모델의 다변화
- 거래소들은 단순 매매 수수료에 의존하는 비즈니스 모델에서 벗어나야 함.
- 스테이블코인 파트너십을 맺으면,
- 준비금 운용 수익(이자 수익) 일부 공유 가능
- 네트워크 내 결제 수수료 확보 가능
- DeFi·대출 서비스 연계로 추가 수익 창출 가능
- 특히 로빈후드 같은 경우, 스테이블코인 기반 소액 결제/투자 상품을 붙이면 사용자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음.
👉 전략적 이유 3:
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해 새로운 수익원 확보.
5. 글로벌 경쟁 구도 속 차별화
- 크라켄, 로빈후드는 이미 코인베이스(Coinbase) 와 경쟁 중.
- 그런데 코인베이스는 이미 USDC 공동 발행사(서클과 파트너) 라서, USDC 진영과 가까움.
- 따라서 크라켄·로빈후드가 USDC 대신 USDG 진영에 합류하면, 시장에서 “차별화된 스테이블코인 전략”을 가질 수 있음.
- 특히 기관 투자자들은 규제 친화적인 스테이블코인을 선호하기 때문에 USDG는 매력적인 대안.
👉 전략적 이유 4
코인베이스-서클(USDC) 진영과 차별화, 시장에서 두 번째 축을 형성.
6. 장기적으로 “글로벌 디지털 달러” 표준 가능성
- 미국 정부가 CBDC(중앙은행 디지털화폐) 발행에 소극적인 상황에서, 민간이 발행하는 “글로벌 달러 스테이블코인”이 사실상 달러의 디지털 표준이 될 수 있음.
- 크라켄, 로빈후드가 초기에 참여해 네트워크의 핵심 파트너로 자리 잡으면, 향후 글로벌 디지털 달러 인프라에서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음.
👉 전략적 이유 5
향후 ‘글로벌 디지털 달러’ 표준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선제적 포석.
🔎 Summary
크라켄·로빈후드가 USDG(Global Dollar Network)에 합류한 이유는 단순히 “새로운 스테이블코인 상장”이 아니라,
👉 규제 친화적이고 글로벌 확장이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네트워크에 초기에 합류해 시장 신뢰·결제 인프라·수익 모델·글로벌 주도권을 동시에 노리기 위한 전략적 선택입니다.
📌 함께 보면 좋은 글